티스토리 뷰

반응형

강박 및 관련장애

강박은 '강한 압박'을 의미하며 무언가에 집착하여 어찌 할 수 없는 심리 상태를 뜻한다. 강박 및 관련장애는 개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던 생각이나 충동이자꾸 의식에 더올라 그것에 집착하며 그와 관련된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부적응 문제를 듯한다. 강박적인 집착과 반복적인 행동을 주된 특징으로 나타내는 강박 및 관련 장애는 강박장애, 신체변형장애, 저장장애, 모발 뽑기 장애, 피부 벗기기 장애 등의 하위장애로 구분된다.

 

강박장애

강박장애는 원하지 않는 불쾌한 생각이 자꾸 떠올라 그것을 제거하기 위한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장애다. 강박장애의 주된 증상은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다. 강박사고는 반복적으로 의식에 침투하는 고통스러운 생각, 충동 또는 심상을 말한다. 이러한 강박사고는 매우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는데, 흔한 예로는 음란하거나 근친상간적인 생각, 공격적이거나 신성 모독적인 생각, 오염에 대한 생각, 반복적 의심, 물건을 순서대로 정리하려는 충동이다. 이러한 생각이 부적절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지만 잘 통제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의식에 떠올라 고통스럽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없애기 위해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게 되는데, 흔히 강박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강박행동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반복적으로나타내는 행동을 말한다. 이러한 강박행동은 싯기, 청소하기, 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이 외현적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숫자세기, 기도하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와 같이 내현적 활동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강박행동이 지나치고 부적절 하다는 것을 잘 알지만,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으면 심한 불안을 느끼기 대문에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징 ㅏㄶ을 수 없게 된다. 강박장애를 지닌 사람은 이러한 강박적 사고와 행동으로 인해서 심한 심리적 고통을 겪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생각과 행동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기 대문에 현실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하거나 현저한 고통을 유발하거나 사회적 직업적 기능 또는 다른 중요한 영역의 기능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경우에 강박장애로 진단된다.

 

신체변형장애

신체변형장애는 자신의 외모가 기형적이라고 잘못 집착하는 경우를 말하며 '신체추형장애' 또는 '신체기형장애'라고 불리기도 한다. DSM-5에 다르면, 신체 변형장애는 신체적 외모에 대해서 한 개 이 상의 주관적 결함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주관적 결함이라 함은 그러한 결함이 다른사람에 의해서는 인식되지 않거나 경미한 것으로 여겨지기 대문이다. 아울러 신체변형장애를 지닌 사람은 반복적인 외현적 행동이나 내현적 행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심각한 고통을 받거나 중요한 삶의 영역에서 심각한 장해를 나타낼 경우 신체변형장애로 진단된다.

 

저장장애

저장장애는 언젠가는 필요할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버려야 할 물건들을 집 안에 산더미처럼 쌓아두는 장애를 듯한다. 이렇게 쌓아놓은 물건들은 생활공간을 심각하게 제한하고 안전이나 건강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 결과,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사람들이 심한 불편을 겪거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저장장애의 주된 진단기준은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다. 물건을 보관하고자 하는 강한 충동을 느기며 물건을 버리는 것을 고통으로 여긴다. 물건을 버려야 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한 우유부단성 대문에 명백히 쓸모가 없거나 무가치한 물건을 버리지 못한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서 집, 직장, 개인적 공간을 수많은 물건으로 채우고 어지럽혀 공간을 정상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한다. 저장장애의 문제행동은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보관하는 강박적 저장과 불필요한 물건을 수집하여 집안으로 끌어들이는 강박적 수집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강박적 저장은 물건을 없애는 것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서 쓸모없는 낡을 것들을 버리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주거나 팔지도 못하고 보관하는 것이다. 이렇게 버리지 못하는 대표적인 물건이 옷과 신문이다.

 

모발 뽑기 장애

모발 뽑기 장애는 자신의 머리카락을 반복적으로 뽑게되는 경우를 말하며, 발모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장애를 지닌 사람은 머리카락을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뽑기 대문에 대머리가 되는 것이 눈에 띌 정도로 확연하게 보인다.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하기 직전이나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할 때는 긴장감이 높아진다. 그리고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할 때마다 쾌락, 만족감, 해방감을 느긴다.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에 의한 것이 아니고 사회적 직업적 적응에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해야 한다.

 

피부 벗기기 장애

피부벗기기 장애는 반복적으로 피부를 벗기거나 뜯음으로서 피부를 손상시키는 행동을 하는 경우를 뜻한다. 피부 벗기기 장애는 심각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문제로서 DSM-5에서 처음 강박 관련 장애의 하위장애로 포함되었다. 피부 벗기기 장애를 지닌 사람은 반복적으로 피부를 만지면서 문지르거나 긁거나 뜯거나 쑤신다.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서 피부가 손상되고 변색되거나 흉터가 생긴다. 심각한 경우에는 피부조직이 손상되어 흉한 모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를 지닌 사람은 피부 벗기기 행동을 줄이거나 그만두기 위해 노력하지만 매번 실패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서 심각한 고통을 받거나 일상생활의 적응에 심각한 장해가 발생할 경우 피부 벗기기 장애로 진단되며 강박적 피부 뜯기 라고 불리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