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탄저균 편지 이어서,

범인은 범행 대상을 무작위로 선택하지 않았다. 범인은 상원의원인 톰 대쉴의 사무실과 NBC-TV, 그리고 <뉴욕포스트> 플로리다의 AMI까지도 선택한 것은 이들이 범인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범인이 이들을 오랫동안 경멸해 왔을 수도 있으며, 범인은 이런 사실을 다른사람들에게 도 말했을 수 이싿. 범인은 다른 사람들과 대면하는 데 필요한 개인적인 기술이 부족하다. 범인은 아마 오랫동안 원한을 품고 언젠가는 이들을 없애버릴 것이라고 맹세했을 수 있다. 아마도 이 사건이 있기 전에도 이런 종류의 해동을 했을 것이다. 범인은 혼자 있기를 좋아하는 편이다. 만일 범인이 다른 사람과 개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이기적인 관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FBI는 사건 당시 범인의 행동을 추정한 내용도 덧붙였다. 비록 '임무 완료' 직전까지 갔던 이 사건들의 보도를 보고도, 그는 아마 겉으로 전혀 관심이 없는 것처럼 행동했을 것이다. 평소보다 더 혼자 있었을 것이고 또 평소와 달리 훨씬 더 활동적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항생제를 복용하기 시작했을지도 모른다. 결정적인 시기에 즉 편지를 부칠 때, 최초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때 언론이 각각의 사건을 보도할 때 그리고 특히 목표로 삼지 않았던 사람들이 죽었을 때 그는 아마도 상당한 행동의 변화를 보였을 것이다. 이 변화에는 외모가 바뀐다거나, 시시때때로 언론에 관심을 가진다거나 기분이 갑작스럽게 좋아졌다 나빠지기를 반복한다거나 비정상적일 정도로 일에 몰두한다거나 식습관이나 수면습관이 바뀐다거나 하는 것들이 모두 포함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탄저균 편지의 범인이 누구인지 밝혀지지는 않았다.

 

필적학

간단한 필적학 강의

필체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일은 길고도 긴 작업이다. 필체 분석가들은 우선 각 글자의 크기뿐만 아니라 위로는 상대적으로 얼마나 높이 올라가며 아래는 또 얼마나 깊이 내려가는지 확인하는 일부터 시작한다. 즉 각각의 글자를 세로로 3구역으로 나눈다. 가운데 구역은 모음 전체와 자음 가운데서 c, m, n, r, r, v ,w ,x z, 그리고 g, p, q, y의 윗부분 또b, d, h, k의아랫부분이들어간다. 위의 구역과 아래 구역은 b, d, f, g, h, j, k, l p, q, t, y의 위나 아래로 뻗은 부분이나 꼬부라진 부분이 들어간다. 글자를 처음 배우는 아이들은 3개의 구역을 나누는 4개의 가로줄이 쳐진 글쓰기 교본에 맞추어서 글자를 쓴다. 필체 분석가들은 규범을 파괴하는 각각의 방식을 분석해 그 사람의 개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필체 분석가의 말로는 맨 위 구역이 지적이며 정신적인 특성, 야망, 이상 등을 드러내고, 가운데 구역은 일상생활에서의 좋고 싫음, 합리성, 사회생활에서의 적응 등을 드러내며, 아래 구역은 성적인 관심이나 물질적인 관심 등 본능과 무의식적인 충동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 3구역의 높이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만일 그렇게 나타난다면 글자 모양이 상대적으로 무디며 판에 박힌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글스기 학원에서 배운 듯한 매우 공식적이며 틀에 박힌 형태의 필체나 교묘하게 위장한 필체는 분석하기가 훨씬 어렵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전문가들은 범인이 자신도 모르게 흘리고 마는 그리고 자신이 흘린 줄도 모르는 단서를 찾아낸다. 아무리 평소 습관과 달리 특이하게 글자를 쓴다 하더라도 무의식적으로 어떤 특징을 드러내게 마련이라고 한다. 예를들어 오른손잡이가 오른손을 쓸 수 없어 왼손으로 글자를 쓴다고 하더라도 오른손으로 쓸 때의 필체의 특징이 그대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하지만 필체만으로는 단정할 수 없는 2가지가 있다. 나이와 성이다. 보통은 20세가 넘은 필체가 성숙해지는 데 60세가 넘어도 어린 아이의 필체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 조합의 비율이 다르기는 하지만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남성적인 특징과 여성적인 특징을 동시에 필체에 담고 있다. 필체 분석가들은 글자들이 차지하는 영역을 살핀 뒤에는 글자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개별적인 특성들을 살핀다. 전체 글이나 문단의 크기나 형태, 필기 도구를 종이에 누르는 압력 글을 써나간 속도, 글자의 기울기, 행의 수평 여부등을 살핀다. 아울러 필체의 전체적인 인상을 살피는데, 여기에는 글자들의 조직정도, 자연스러움, 독창성, 역동성, 조화, 리듬 드으이 요소가 분석 대상이 된다. 그리고 글자와 글자사이, 단어와 단어 사이, 행과 행 사이의 폭과 규칙성도 중요한 분석 대상이다. 그 다음에는 단일 글자의 조합 형태를 분석한다. 우선 대문자 그중에서도 I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t에서 2개의 선이 교차하는 방식을 분석하고 i에서 점을 찍는 방식을 분석한다. 또 곡선 부분을 분석하고, 마침표를 분석하고, 숫자를 분석한다. 서명은 특히 중요하다. 개인의 서명은 비록 서명할 때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몇 번을 반복한다 하더라도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어떤 서명 2개가 완벽하게 똑같을 경우 오히려 하나가 까짜일 수 도 있다고 의심해볼 수 있다. 그런데 서명으로 사용한 글자의 스타일은 본문 글자와 다르다면, 그 사람은 솔직하지 않은 성격임을 임증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 각 글자의 개별적인 구성과 전체적인 조합은 필체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데 가장 설들력 있는 요소이다. 이것으로 인한 특징은 아무리 숨기려도 해도 소용 없다. 우선 먼저 보아야 할 사항은 글의 전체적인 인상이다. 즉 각이 졌는지 가늘고 날카로운지, 둥근지, 화려한지 등을 살핀다.

계속.

반응형